Reading Mate

From Birdcall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Reading Mate thumbnail image created by Jisu

'리딩 메이트'는 3개월간 진행하는 집단 병렬독서 프로그램으로, 여러 편의 텍스트 사이의 연결성을 발견하고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참여자는 각자 자신이 원하는 책의 한 챕터를 선정합니다. 각자가 고른 텍스트들을 병렬독서하고 그 안에서 발견한 연결점에 대해 A4 한 장 분량의 글 한 편을 작성합니다. ‘리딩 메이트’에서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 정리, 연결, 편집할 수 있는 메모 툴인 옵시디언을 사용해 독서 노트를 작성합니다. 옵시디언은 개별 정보 간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지식관리 시스템입니다. 옵시디언에 초기 데이터를 쌓고 활성화하여 이후 읽고 쓰는 활동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진행

송지은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서 사용자 경험 및 협업 기반의 기술 사용에 관해 연구한다. 정보를 조직화하는 방식에 관심이 많아 생산성 툴인 옵시디언 보조 기반의 제텔카스텐 방식을 널리 알리고 있다. 그러나 협업 기반의 기술 사용 행태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소한의 개입으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 체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지수

서재와 교실의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 버드콜을 운영하며 학습 커뮤니티를 디자인하고 프로그램과 출판물을 기획한다. 글쓰기로써의 코딩과 학습 도구로써의 웹에 관심을 두며 컴퓨터 언어 글쓰기의 결과물로서의 웹사이트를 ‘웹사이트사이트’에 아카이브한다. 또한 웹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탐구하는 실천적 공동체 ‘새로운 질서 그 후’의 일원으로 활동한다.

#1. 2025.01.10 - 03.21

Reading Mate #1. Selected texts

참여자

  • 권수진
  • 길효주
  • 승윤주
  • 서지민

선정 텍스트

  • 벨 훅스, 『경계 넘기를 가르치기』 中 언어 - 새로운 세계/새로운 단어 가르치기
  •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中 다른 공간들
  • 니시자와 야스히코, 『식민지 건축: 조선·대만·만주에 세워진 건축이 말해주는 것』 中 식민지 건축을 뒷받침한 재료
  • 잭 핼버스탬, 『실패의 기술과 퀴어 예술』 中 실패의 퀴어 예술

작성 텍스트

#2. 2025.03.14 - 05.23

Reading Mate #2. Selected texts

참여자

  • 권수진
  • 윤소진
  • 장우석

선정 텍스트

  • 브루노 라투르 외, 『인간·사물·동맹』 中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관하여 : 약간의 해명, 그리고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기
  • 조해나 드러커, 『알파벳의 발명』 中 알파벳 효과와 문자의 정치학
  • 조르주 페렉, 『공간의 종류들』 中 아파트, 건물
  • 전상인, 『편의점 사회학』 中 근대 합리주의의 화신

작성 텍스트

#3. 2025.04.18 - 06.27

Reading Mate #3. Selected texts

참여자

  • 김보경
  • 박상권
  • 이나영

선정 텍스트

  • 『사람, 장소, 환대』 中 절대적 환대
  • 『듣기의 윤리』 中 전달 (불)가능성
  • 『게임: 행위성의 예술』 中 행위성이라는 예술
  • 『불확실을 이기는 전략: 센스메이킹』 中 왜 센스메이킹인가?

작성 텍스트